728x90 바닥가풍경6 회초리를 들수 밖에 없었던날, 세상을 바꾸는 부드러운 손길 회초리를 들수 밖에 없었던날, 세상을 바꾸는 부드러운 손길 제목에서 주는 의미가 그대로 입니다.. 전혀 의미가 있는 이야기 입니다. 항상 그렇듯이 바닥가풍경을 찍기전에 하는 작업 입니다. 이 회초리로 물을 쓸어 주어야 잡티및 오물을 제거 할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은면 호수에 돌섬이 많이 생겨서 사진의 반영 부분이 지저분합니다. 바닥에 물이 고여봐야 수심 5mm 이내 입니다. 그러니 카메라를 물위에 올려 놓아도 전혀 침수의 위험이 없겠지요. 이렇게 바닥을 깨끗히 청소를 한후에 사진을 찍습니다. 매번 이렇게 하는데, 오늘은 좀 유별날이니, 이렇게 한번 보여 드립니다... 방법은 간단 합니다... 긴 회초리들 땅에 대고 오른쪽으로 휙 밀어 주면 바닥이 청소가 됩니다. 세상을 바꾸는 부드러운손길.. 맞지 않나요.. 2022. 8. 17. 바닥가풍경,,, 그 탄생과 촬영방법 물위에 작은 벌레는 5mm정도 되는 날파리 입니다. 신기하죠.. 날파리 반영까지... 바닥가풍경의 신비는 직접봐도 믿지를 못합니다. 그래서.. 아직도 합성사진이라고 합니다. 굳이 설득할 필요도 없고.... 사진을 찍기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손각대 : 아무런 장치없이 왼손으로 카메라렌즈를 조작하면서 찍은 방법 발각대 : 카메라를 신발앞끝에 올려 놓고 찍는 방법 삼각대 :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 사각대 : 바닥가풍경을 찍이 위한 네발로 고정해서 물속에 넣고 찍는 방법 일각대 : 외각대라고 하며, 하나의 대만을 사용해서 찍는 방법 이중에서 제가 주로 사용하는 바닥가풍경 촬영 기법인 발각대와 사각대는 인터넷에 검색을 해 봐도 잘 소개되지 않는다. 아마도, 이 포스팅이 게시되면서 다음에서 .. 2022. 7. 29. 4K영상으로 보는 바닥가풍경 타임랩스를 만들려면,,, 노을풍경사진 대부분은 역광으로 찍기 때문에 건물이나 산의 모습은 어둠속에 잠기게 됩니다. 거리가 먼경우 프로그램으로 노이즈를 어느정도 줄일수 있지만, 영상으로 찍게 되면 영상전문보정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제약 사항이 있습니다. 그래서 인터벌로 사진을 찍게 되면 사진 한장한장의 해상도를 5~6K급으로 찍고, 보정해서 4K영상으로 줄이면 좀더 선명한 화면으로 동영상을 구현 할수 있습니다. 보통 7초 간격으로 1시간이상 찍어야 1분 정도의 분량밖에 안되기 땝문에 보통 카메라 3대로 사진을 찍습니다. 광각, 중각각, 바닥가풍경, 이렇게 세가지로 구성을 합니다. 호수가 크면 바닥가풍경을 2대로 1대는 일반각으로 촬영 합니다. 사진은 한강주변에서 찍을때가 많은데, 한강풍경 보다는 거의 .. 2022. 4. 21. 검색으로 보는 "바닥가풍경" 바닥가풍경, 검색엔진을 통해서 찾아 봤습니다. 검색엔진 중에서 "다음"이 가장 똑똑한것을 알수 있습니다. 자, 그럼 바닥가풍경 사진을 한장 자.. 그럼 검색엔진별로 "바닥가풍경"을 입력해 보겠습니다. 1. 네이버 바닥가풍경을 클릭하면 2. 구글 구글도 마찬가지로 바닥가풍경을 다시 클릭해야 합니다. 바닥가풍경을 다시 클릭하면 3. 유튜브 유튜브도 역시 한번 더 물어 봅니다. 바닥가풍경을 클릭해주면 이렇게 단독으로 제 체널이 검색 됩니다. 4. 다음(Daum) 다음에서는 바로 찾아 줍니다.... 대단한 검색엔진 입니다. 그래서.. 다음 다음 하나 봅니다. 5. 인스타그램,,, 바로 검색됩니다... 그렇게 "바닥가풍경"은 십여년동안 여기 저기에서 많이 게시되고 있습니다. 이젠, 이 티스토리에서도 많이 검색 되.. 2022. 4. 20. 영상으로 보는 바닥가풍경 ? 바닷가에는 바닷가풍경을 볼수 있고, 땅바닥에서는 바닥가풍경을 볼수 있습니다. 말도 재미있지만, 영상또한 멋집니다... . 우리가 아주 어렸을때... 기어다니던 아가의 시선으로 보는 세상이 바로 "바닥가풍경" 입니다. https://youtu.be/8DrDUv2-kRE 2022. 4. 19. 바닥가풍경 비가 내리면 작은 호수가 생깁니다... 아주 잠시 동안, 그 작은호수엔 큰 세상을 담을수 있습니다. 이름하여 바닥가풍경, 그 의미를 잘 생각하면 멋진 사진을 찍을수 있습니다. 2022. 4.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