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영종도여행3

사진 잘찍고 잘 활용하는 방법, 망원사진 크롭하는 방법, [연말연시 해념이 명소는 어딜까 ??] 사진 잘찍고 잘 활용하는 방법, 망원사진 크롭하는 방법아래 두장의 사진은 같은 장소 다른날찍은 사진이다. 첫번째 사진은 태양과 새가 모두 뚜렷하게 잘 보이고,  두번째 사진은 새에 촛점을 맞춰서 찍었기 때문에 태양이 조금 촛점이 잘 맞지 않은 상태이다.  두사진 모두 갈매기와 검은머리물떼새에 촛점을 맞춰서 찍은 사진이다.광각과 망원의 차이에 의해서 사진의 선명도가 차이나는 것이다.  첫번째 사진 : 갈매기  두번째사진 : 검은머리물떼새 1. 태양의 크기로 크롭을 비교해 보자.     갈매기는 선명하고 태양은 조금 블러된 상태, 두번째 사진과 비슷한 느낌이다.    바위넘어 보이는 선은 바지선이 배를 끓고 가는 줄이다. 갈매기의 선명함은 변함이 없고, 태양의 표면도 조금은 부드러워진 느낌이다.  갈매기의 .. 2024. 12. 7.
4계절 해넘이를 볼수 있는곳, 을왕리 4계절 해넘이를 볼수 있는곳, 을왕리 을왕리 해수욕장은 아래 지도에서 처럼 부채꼴로 생겨서 일년내내 해안가를 움직이면서 해넘이를 찍을 수 있다. 수평선 넘어로 오여사님 퇴글하는 모습을 언제나 찍을수 있으니, 서해안 낙조의 명소가 아닐수 없다. 서울에서도 1시간 내외면 올수 있다. 이곳 이외에 영종도 어디서나 계절별로 특이한 바위를 배경으로 해넘이를 찍을수 있으니 수도권 여행지중에서 으뜸이라 할 수 있다. 오늘 소개할 사진은 을왕리해수욕장 선착장 부근 갯바위에서 찍은 사진 이다. 촬영일자 2014년 12월 18일 먼저 오여사님의 가장 흔한 모습 시간에 따라 완변하게 변하는 오여사님 노란색과 빨간색의 조화가 전형적인 오여사의 끝판왕 이다. 여사님을 촬영하기 전에 주변 풍경도 여러 각도에서 찍어 본다. 파도가.. 2022. 12. 30.
서쪽에서 해가 뜨는곳, 서해안 해맞이 서쪽에서 해가 뜨는곳, 서해안 해맞이 불가능한 일이 있을때 우리는 서쪽에서 해가 뜰일 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실제로 서쪽에서 해가 뜨는곳이 있다. 실제로 아주 많이 있다. 오늘은 겨울에 볼수 있는 서쪽 일출을 이야기 해 본다. 영종도 동남쪽 끝에는 거잠포가 있다. 이곳에서는 겨울에 일출을 볼수 있는데, 그 이유가 있다. 수평선의 거리가 25km가 넘는다면 서쪽 어디에서 든지 일출을 볼수 있다. 거잠포의 경우 시화방조제쪽으로 거리가 22Km쯤 되기 때문에 오여사(오메가형상)의 일출을 볼수 있는 것이다. 아침의 오여사와 매도랑(샤크섬)의 좌측에 구도로 찍을경우 수평선 넘어에 안산쪽에 아파트 단지가 가로 막아 실제 오여사를 찍을수는 없다. 하지만 한가지 가능할때가 있는데, 만조가 될 경우이다. 아래 사진에서.. 2022. 12. 22.
반응형